카카오톡 '친구 탭'이 인스타그램 피드처럼 변하는 시점과 배경, 사용자 반응, 그리고 앞으로의 변화 방향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banner-150]
국민 메신저로 자리 잡은 카카오톡이 출시 이후 15년 만에 친구 탭 UI를 대대적으로 바꿉니다.
기존 전화번호부 스타일에서 벗어나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콘텐츠를 피드 형태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전환되는데요. 이 글에서는 정확한 시점, 배경과 전략, 업데이트 방식, 사용자 반응까지 다채롭게 정리했습니다.
1. 변경 시점: 언제부터 적용되나?
- 2025년 9월부터 순차적으로 개편을 시작
- 구체적인 UI는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if Kakao)’에서 공개 (일정 미정)
2. 왜 인스타처럼 바꾸는 걸까?
목적 1: 사용자 체류 시간 회복
-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2021년 5월 평균 822분 → 2024년 5월 평균 731분으로 사용 시간 감소
- 피드형 콘텐츠로 친구들의 일상을 보여주면 앱 체류 시간이 늘고 광고 노출 기회도 증가 예상
목적 2: 소셜 플랫폼으로 확장
-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친구 탭이 단순 목록에서 일상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변화할 것”이라 밝힘
3. 개편되는 UI는 어떻게 달라지나? (변경내용 3가지)
| 항목 | 기존 친구탭 | 개편 후 (25년 9월 적용) |
| UI 스타일 | 전화번호부처럼 가나다순 나열 | 인스타그램처럼 콘텐츠 중심 피드형 |
| 노출 콘텐츠 | 이름 및 프로필만 표시 | 사진·영상 등 친구 콘텐츠 중심 |
| 전략 방향 | 연락 중심 | 콘텐츠 소비 및 광고 중심 |
- 친구가 올린 사진, 동영상 등 미디어 콘텐츠가 피드 형태로 노출됨.
4. 사용자 반응은?
긍정 반응
- “카톡에서도 친구들 일상을 볼 수 있어 편리하다”
- “스크롤하면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험이 신선하다”
부정 반응
- “메신저는 메시지 중심이길 원했는데 기능이 너무 많아졌다”
- “전화번호 저장 기반이라 사생활 노출 우려된다”.
- “펑이나 카카오스토리처럼 이번에도 사용자 외면당할 것 같다” (실제로 사용자 반응이 미미했던 과거 사례도 언급됨).
5. 과거 시도와 비교: 이번 개편이 다른 이유는?
- 2023년 도입된 **‘펑’ 기능(스토리 유사)**은 반응이 미미했고 결국 사라짐.
- ‘카카오스토리’ 역시 초반에는 인기를 끌었지만 외산 SNS의 공습으로 이용자가 급감.
- 이번 개편은 UI의 근본적 변화이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사용자 반응에 따라 성공할 가능성 있음.
6. 자주 묻는 질문 (Q&A)
Q1. 모든 사용자에게 동시에 적용되나요?
A. 아닙니다. 앱 업데이트 후 순차적으로 적용, 베타 그룹을 먼저 경험할 가능성이 큽니다.
Q2. 설정에서 이전 UI로 돌릴 수 있나요?
A. 현재로서는 되돌리는 기능은 공식 제공되지 않습니다. 향후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선택 옵션이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Q3. 내 친구만 골라서 보여주기 가능한가요?
A. 아직까지는 '내가 보고 싶은 친구'만 선택해서 보여주는 기능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정식 발표에서 세부사항이 나올 예정입니다.
요약
| 항목 | 요약 |
| 개편 시작 시점 | 2025년 9월부터 순차적 적용 |
| 개편 목적 | 체류 시간 증가, 소셜 플랫폼화, 광고 수익 확대 |
| 변화 특징 | 전화번호부 → 친구 피드형 콘텐츠 UI |
| 사용자 반응 | 찬반 엇갈림, 사생활 노출 우려 존재 |
| 과거 실패 사례 | 펑, 카카오스토리, 둘 다 실패 이후 |
| UI 복원 가능성 | 현재는 되돌리는 방법 없음 (향후 고려 여지 있음) |
마무리
이번 카카오톡 친구탭 개편은 단순 UI 변경을 넘어, 메신저에서 소셜 플랫폼으로 진화하려는 전략적 변화입니다. 사용자 체류시간 확대와 광고 수익성을 노린 의도인 만큼, 향후 성공 여부에 따라 카톡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최신 정보를 업데이트해 드릴 예정이니, 북마크해두시고 관심 있게 지켜봐 주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