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280]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2025년 9월 23일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단행했습니다. AI 기반 기능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까지 변화의 폭이 매우 컸지만, 사용자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 업데이트로 인해 원치 않는 변경 사항을 겪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자동 업데이트 차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 내용부터,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 자동 업데이트 끄는 법, 그리고 업데이트 관리 팁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1.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 내용 요약
카카오는 '이프 카카오 2025' 행사에서 대규모 업데이트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입된 주요 기능
- 챗GPT 등 온디바이스 AI 탑재
→ 대화 중 실시간 요약, 번역, 문맥 기반 답변 가능 - 채팅방 폴더 기능
→ 업무, 가족, 친구 등 주제별 채팅 분류 가능 - 메시지 수정 기능
→ 보낸 메시지 편집 가능 (수정 이력 표시됨) - 숏폼 영상 생성 기능
→ 프로필에 짧은 동영상 게시 가능 - 친구탭 UI 전면 개편
→ 리스트형에서 피드형 타임라인으로 변경
2. 카카오톡 업데이트, 사용자 불편 집중 분석
하지만 정작 이용자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업데이트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업데이트하지 말라는 글이 공유될 정도였습니다. 사용자들이 불편해한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친구 목록 → 타임라인 피드 UI 변경
- 기존: 친구 목록이 메인 화면
- 변경: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게시물이 노출되는 피드형 UI
➡️ 사용자 반응:
“메신저에서 친구 목록이 안 보이는 건 불편하다”
“업무용 카톡에서 지인의 사적인 사진이 보이는 게 싫다”
🔸 (2) 사생활 노출 우려
- 피드 노출로 인해 모르는 사람에게도 내 프로필 활동이 공유될 가능성
- 설정이 명확하지 않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커짐
➡️ 사용자 반응:
“내 카톡이 인스타도 아니고… 부담스럽다”
“친한 사이 아닌 사람에게도 사적인 정보가 보인다니 불쾌하다”
🔸 (3) 갑작스러운 강제 업데이트
- 자동으로 앱이 업데이트되어 UI가 바뀌는 점에 불쾌감
- 원래대로 되돌릴 수 없는 구조에 당황한 사용자 다수
➡️ 사용자 반응:
“자동 업데이트 너무 불편하다. 이전 버전으로 돌리고 싶다”
“내 의지 없이 바뀌는 건 너무 스트레스다”
3.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차단 방법 (안드로이드 & 아이폰)
📱 안드로이드 자동 업데이트 끄는 법
Google Play 스토어에서 개별 앱 설정 변경 가능
- Play 스토어 실행
- 상단 검색창에 ‘카카오톡’ 입력 후 앱 선택
- 오른쪽 상단 ‘⁝’ 메뉴 클릭
- ‘자동 업데이트 사용 안함’ 체크
➡️ 이후부터는 수동 업데이트만 적용됩니다.
🍎 아이폰(iOS) 자동 업데이트 끄는 법
iOS는 개별 앱 설정이 불가, 전체 앱 업데이트 차단 필요
- [설정] 앱 열기
- [App Store] 항목 선택 (App Store 항목이 안보일 시, 상단 검색창에 검색하여 찾을 수 있음)
- 자동 다운로드 → ‘앱 업데이트’ OFF
➡️ 모든 앱의 자동 업데이트가 중단되며, 카카오톡도 포함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자동 업데이트를 꺼도 업데이트되나요?
A. 아니요. 수동 업데이트 설정 시, 직접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앱이 변경되지 않습니다.
Q2.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는 방법은 없나요?
A. 공식 앱스토어에서는 불가능합니다. 비공식 APK 설치는 보안상 위험이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Q3. 자동 업데이트 꺼도 보안에 문제가 생기지 않나요?
A. 자동 업데이트는 보안에 도움을 주지만, 꺼도 괜찮습니다. 단, 주기적으로 수동 업데이트를 확인해 주세요.
📝 마무리: 선택은 사용자에게 있어야 합니다
카카오톡의 이번 대규모 업데이트는 기능적으로는 혁신적이지만,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특히 자동 업데이트로 인해 원치 않는 변화를 겪은 이용자들이 많아지면서, 설정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고, 본인에게 필요한 시점에만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카카오톡을 보다 안정적이고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anner-150]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