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280]
🚨 "자다가 50만 원이 빠져나갔습니다"
2025년 8월, 새벽 3시. 경기도 광명시에 사는 A씨는 알람도 꺼둔 스마트폰이 알 수 없는 진동과 함께 꺼져 있는 걸 발견했습니다.
눈을 비비며 켠 화면에는 카카오톡 자동 로그아웃. 그리고 곧이어 날아온 문자 한 통.
“OO상품권 사이트에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미 KT 소액결제를 통해 48만 9천 원이 빠져나간 상황.
링크도 누르지 않았고, 악성 앱도 설치하지 않았는데 벌어진 일입니다.
2025년 8월부터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KT 및 KT망 알뜰폰 이용자를 겨냥한
유령 기지국 기반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확산되며, 전국 KT 이용자들에게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단순한 '스미싱'이 아니라, 악성 링크나 앱 설치 없이도 발생한 정교한 범죄였기에
KT 소액결제 차단과 해지 설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KT 소액결제 사기 사건 요약 (2025년)
- 📌 카카오톡 자동 로그아웃 → 상품권 사이트 가입 문자 → 소액결제 수십만 원 발생
- 📌 피해자들은 링크 클릭·악성 앱 설치 등 행위 전혀 없음
- 📌 KT는 유령 기지국 활용 가능성을 인정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 공식 신고
단순 스미싱을 넘어선 정교한 신호 탈취형 범죄로,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 KT 소액결제 차단 방법 2가지
📱 방법 1. KT 고객센터 앱 이용
- KT 멤버십 앱 실행
- [결제/이용내역] → [소액결제/콘텐츠 이용내역]
- [소액결제 차단 설정] → ‘차단’ 선택 후 저장
✅ 실시간 반영
⚠️ 단순 차단만으로는 해커가 재해제할 수 있음
💻 방법 2. KT 홈페이지 이용
- KT 홈페이지 접속
- 마이 → 요금/서비스 → 요금조회 → 휴대폰결제 내역 → 휴대폰결제 →한도 변경
🔒 소액결제 ‘해제 불가 차단’ 설정법
단순 차단만으로는 해커가 소액결제를 재해제 후 재결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 방법으로 강력한 '해제 방지 설정'까지 진행해야 합니다.
▶ KT 사용자
- ☎ 080-001-0126 전화
- 또는 KT플라자 방문
- 소액결제 완전 차단 요청 (설정 시, 비대면으로는 해제 불가)
✅ 이 설정을 하면 해커가 본인 인증 없이 해제 불가
▶ KT망 알뜰폰 사용자
- 이용 중인 알뜰폰사의 고객센터에 전화
- 일부 알뜰폰사는 KT 지침에 따라 대응
⚠️ 참고: 일부 알뜰폰사는 ‘완전 차단’ 기능 미지원 → 한도 0원 설정만 가능
🛡 KT 해킹 안심보험 가입 안내 (KT 365 폰케어)
필요 대상
- KT 및 KT망 알뜰폰 이용자 누구나
- 소액결제 차단 이후에도 금전 피해 보장을 원할 경우
가입 방법
- KT 사용자: KT멤버십 앱 또는 KT 홈페이지에서 가입 가능
- 알뜰폰 사용자: KT 마이알뜰폰 앱 설치 후 가입 가능
🆘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 KT 소액결제 대응센터 (24시간 운영)
- ☎ 080-722-0100
📌 단, KT망 알뜰폰 사용자는 이 번호로는 조치 불가
→ 자신의 알뜰폰 고객센터로 직접 연락 필요
✍ 마무리: 해킹은 선택된 대상이 아닌, 방심한 사람을 노린다
2025년 KT 소액결제 해킹 사건은 우리 모두에게 경고를 던졌습니다.
링크도, 앱도, 클릭도 하지 않았는데도 수십만 원이 빠져나간 사례가 수십 건.
피해자는 평범한 KT 이용자였고,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일 수도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점검하세요:
- KT 고객센터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소액결제 차단
- 고객센터 전화 또는 KT플라자 방문으로 ‘해제 불가’ 설정 완료
- KT망 알뜰폰 사용자라면 고객센터를 통해 별도 요청 필수
- 해킹 안심보험으로 금전 피해도 대비
🔐 당신의 스마트폰, 당신이 지켜야 합니다.
조금의 불편함이, 수십만 원의 손해를 막습니다.
스스로 안전을 챙기지 않으면, 누구도 대신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 지금 설정하고, 가족과 지인에게도 꼭 공유해 주세요.
0 댓글